

김유석 최종현학술원 대표가 지난 24일 열린 외교안보 전략방향 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최종현학술원 제공)
[파이낸셜뉴스] 글로벌 안보 질서 재편, 기술 패권 경쟁, 북핵 위협, 공급망 전쟁 등 복합 위기 속 국제 정세에서 국내 외교·안보·기술 전문가들이 "수동적 대응을 넘어서, 능동적이고 정교한 국가 전략을 새로 짜야 한다"고 조언했다.
최종현학술원은 동아시아연구원,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과 공동으로 지난 24일 '글로벌 복합 위기, 대한민국의 외교안보 전략 방향'을 주제로 포럼을 개최했다고 25일 밝혔다.
행사에는 학계·정책 분야를 대표하는 전문가들이 모여 '능동적 동맹 전환', '전략적 자율성', 'AI 생태계 기반 기술안보' 등 해법을 제시했다.
김유석 최종현학술원 대표는 "외교 정책은 전략과 원칙, 가치와 현실, 여기에 국내 정치적 고려까지 맞물리는 고도의 판단 영역"이라며 "이제는 '최악을 피하는 선택'에 머물 것이 아니라, '최선에 가까운 전략'을 주도적으로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전했다.
김정섭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한미동맹에 대해 "방위비 분담금 압박, 미군 역할 재설정, 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이라는 세 갈래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며 "이제는 수동적 대응을 넘어 한국 주도의 능동적 동맹 전환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전작권 전환 문제에 대해선 "더 이상 '주권 회복' 차원이 아닌 미국이 먼저 원할 때 수용하는 '전략적 기회'로 전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홍용표 전 통일부 장관은 실용외교에 대한 근본적 성찰을 언급했다. 그는 "실용외교는 이분법적 사고의 탈피에서 출발해야 하며, 지금은 북한의 정체를 직시하고 현실적 안보 기반 위에서 대화와 협력을 설계해야 할 시점"이라며 "이재명 정부가 평화를 표방하되, 안보의 본질을 놓치지 않는 균형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글로벌 인공지능(AI) 패권 경쟁에서는 제조업 기반 AI 전략을 채택해야 한다는 제안도 나왔다.
권석준 성균관대 교수는 "중국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그래픽처리장치(GPU), 공정장비까지 반도체 전 영역을 아우르며 인공지능(AI) 생태계로 고속도로를 구축하고 있다"며 "한국은 제조업 기반의 AI 전략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이어 "AI와 제조업의 융합을 실현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선진국이 한국"이라며 "글로벌 산업 구조가 빠르게 다변화하는 지금이야말로 AI-제조 융합 전략을 통해 도약할 기회를 잡아야 할 때"라고 진단했다.
파이낸셜뉴스 = 임수빈 기자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