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보고서는 북·중·러의 연대 강화와 북한의 핵·미사일 역량 고도화, 트럼프 2기 행정부 및 한국 신정부 출범 등 급변하는 외교 환경을 반영해 기획했다. 한미 양국 외교·안보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했고, 북미 외교 재개 가능성과 이에 따른 전략적 대응을 6가지 시나리오 별로 분석했다.
美 전문가들, 스몰딜·분기별 고위급 회담 제도화 등 제시
프랭크 아움 전 미국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은 북미 간 '안정적 공존'을 위한 방안으로 영변 핵시설 폐기와 대북 제재 일부 완화(섬유, 해산물, 노동력, 석탄, 광물 등)를 맞바꾸는 식의 '스몰딜'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나랑 교수는 "북한은 2019년 이후 핵과 미사일 능력을 고도화했으며, 러시아와 밀착으로 제재 해제를 절박하게 요구하지 않아도 되는 상황"이라며 "실질 외교보다는 북핵 억지력 강화가 오히려 한반도 위험을 줄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억지력 강화 일환으로 핵추진 순항미사일(SLCM-N)의 한반도 전진 배치 같은 실질적 조치를 제안했고, 이재명 정부에도 "확장 억제에 대한 공개 지지를 통해 한미 공조의 일관성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韓 전문가들 "美 대북협상에서 韓 배제 안돼"
한국 전문가들은 "미국의 대북 협상 과정에서 동맹인 한국의 이해 관계가 배제돼선 안 된다"고 입을 모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