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정학리스크

한미일중 100년 Ⅱ: 냉전해체와 중국의 부상(1970-2023)

기획
최종현학술원
출판
일조각
출간
2023. 12. 30
ISBN
978-89-337-0828-6

첨부자료

최종현학술원은 이 분야의 최고 전문가 42(학자, 외교관, 언론인)이 참여한 지정학 특별기획 한미일중 100년 컨퍼런스’(2023.01.04.)에서 논의된 내용을 엮어 단행본 한미일중 100을 출간하였습니다. 이 책은 1876년 우리나라가 최초의 근대조약인 조일수호죠규(강화도 조약)를 체결한 이후 서구 열강이 주도하는 근대 국제질서로 진입한 이래 최근까지, 지난 100여 년 동안 한미일중 관계가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한 것입니다. 그중 2한미일중 100: 냉전해체와 중국의 부상(1970-2023)1970년대 이후 데탕트를 거쳐 오늘날 탈냉전 시기에 이르기까지 세계 정세의 변화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또한 그 속에서 한국은 어떻게 대응하면서 발전해 왔는지 살펴보고, 현재를 진단하고 향후 전망과 함께 제언도 내놓고 있습니다.

 

 

목 차


3부 냉전의 이완·해체와 한미일중

 

요약 마상윤(가톨릭대 국제학부 교수)

 

10장 미국의 동아시아 정책(1972-1992)

           마상윤(가톨릭대 국제학부 교수)

 

11장 중국, 대전환의 20(1972-1992)

           이동률(동덕여대 중어중국학과 교수)

 

12장 데탕트, 신냉전, 탈냉전 시기 일본의 외교(1972-1992)

           조양현(국립외교원 인도태평양연구부 교수)

 

13장 데탕트, 신냉전, 탈냉전 시기 한국의 외교(1972-1992)

           우승지(경희대 국제학부 교수)

 

토론

지정토론: 김승영, 이원덕, 이희옥

자유토론: 김용호, 박인국, 박태균, 송민순, 신각수, 안호영, 이재승

 

*

 

4부 탈냉전과 중국의 부상

 

요약 박철희(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

 

14장 탈냉전 시기 미국의 대외전략과 동아시아: 단극구조와 자유주의 국제질서

           차태서(성균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15장 탈냉전 시기 일본의 보통국가화와 한미일중(1990년대-2010년대)

           박철희(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

 

16장 탈냉전 시기 중국의 대외전략과 한미일중(1990년대-2020년대)

           김한권(국립외교원 인도태평양연구부 교수)

 

17장 탈냉전 시기 북한의 대외정책: 실리외교와 적대외교의 부정교합(1990년대-2010년대)

           박원곤(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토론

지정토론: 김재철, 신성호

자유토론: 김민석, 김숭배, 김승영, 김용호, 마상윤, 박영준, 박인국, 윤영관, 이미숙, 임혁백

 

*

 

좌담회 한미일중 100년의 교훈

토론: 박인국, 박영준, 전재성, 마상윤

기획 및 편집: 김용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