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현학술원은 이 분야의 최고 전문가 42명(학자, 외교관, 언론인)이 참여한 ‘지정학 특별기획 한미일중 100년 컨퍼런스’(2023.01.04.)에서 논의된 내용을 엮어 단행본 『한미일중 100년』을 출간하였습니다. 이 책은 1876년 우리나라가 최초의 근대조약인 조일수호죠규(강화도 조약)를 체결한 이후 서구 열강이 주도하는 근대 국제질서로 진입한 이래 최근까지, 지난 100여 년 동안 한미일중 관계가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한 것입니다. 그중 1권 『한미일중 100년 Ⅰ: 일본 제국주의와 냉전(1870-1970)』은 일본 제국주의 시기부터 냉전으로 세계가 양극화된 시기까지 한반도를 둘러싼 동북아 정세의 변화와 흐름을 국제정치의 역학 관계 속에서 다각적으로 살펴보고 있습니다.
목 차
제1부 일본 제국주의와 한미일중
요약 박영준(국방대 안보대학원 교수)
제1장 조선의 근대적 외교와 미·중·일의 대한반도 정책(1876-1894)
김종학(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제2장 메이지 일본의 대외전략: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을 중심으로(1867-1905)
조명철(고려대 사학과 교수)
제3장 베르사유체제의 형성과 동북아시아의 국제관계(1914-1922)
김숭배(부경대 일어일문학부 교수)
제4장 미일 패권전쟁으로서의 태평양전쟁의 요인(1900-1941)
박영준(국방대 안보대학원 교수)
토론
지정토론: 강태웅, 정재정
자유토론: 김용호, 박인국, 박지향, 심규선, 안호영, 윤영관, 이미숙, 임혁백
*
제2부 미소 냉전 시기 한미일중
요약 전재성(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제5장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미·소·일·중과 대한/조선(1945-1953)
김명섭(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제6장 샌프란시스코평화조약과 동북아시아의 질서 재편(1951-1952)
정병준(이화여대 사학과 교수)
제7장 동아시아 자유주의 안보질서 구축과 한국전쟁의 역할(1945-1955)
전재성(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제8장 한국전쟁 이후 1960년대까지 한미 관계의 진화와 쟁점(1953-1968)
박태균(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
제9장 한반도·동북아 정전체제의 역사적 전개 과정과 인식의 변화
남기정(서울대 일본연구소 교수)
토론
지정토론: 이완범, 홍용표
자유토론: 김용호, 남정호, 박영준, 박인국, 박지향, 안호영, 임혁백, 장 훈, 정재정, 조양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