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혁신
제 1회 최종현학술원 과학혁신 컨퍼런스
The Realistic Future of Human Life
#과학혁신 #나노신소재 #AI 인공지능 #자율주행
The Realistic Future of Human Life - 폴 알리비사토스(Paul ALIVISATOS)
#과학혁신 #나노신소재
The Realistic Future of Human Life - 스티븐 보이드 (Stephen BOYD)
#과학혁신 #AI 인공지능
The Realistic Future of Human Life - 타키오 카나데 (Takeo KANADE)
#자율주행 #과학혁신
session1_discussion
#과학혁신
plenary_paul_alivisatos
plenary_stephen_boyd
session2_discussion
session3_discussion
session4_discussion
청중
최종현학술원은 2019년 7월 31일- 8월 1일 양일간 'The Realistic Future of Human Life'라는 주제로 첫 번째 과학혁신 컨퍼런스를 개최하였다. 한국, 미국, 일본을 대표하는 16명의 과학자들이 나노신소재, 인공지능, 생명공학, 뇌과학, 양자테크놀로지 등 첨단과학 핵심분야에 대한 심도있는 강연과 토론을 펼쳤다. 궂은 날씨에도 불구하고 천 여명에 가까운 청중이 참석하여 열띤 지식나눔의 현장에 함께하였다.
세션 및 연사 정보
기조세션에는 Paul ALIVISATOS UC버클리대 교육부총장과 Stephen BOYD 스탠포드대 전기공학과장이 연사로 참여하여, 각각 나노입자 신소재와 딥러닝 최적화 기법이 우리 생활 곳곳에 어떻게 응용될 수 있는지 조망하는 시간을 가졌다.
Paul ALIVISATOS
UC Berkeley
Imaging of Nanocrystals and Nanocrystal-DNA Assemblies in the Graphene Liquid Cell
Stephen BOYD
Stanford University
Embedded Optimization for Real-Time Decision Making
'세션 1. 인공지능'은 자율주행 분야 개척자 세대를 대표하는 Takeo KANADE (카네기멜론대) 교수의 자율주행자동차 발전 과정에 대한 열정적인 강연으로 시작하였다. 이어, 장병탁(서울대) 교수가 1세대부터 3세대에 이르는 인공지능 각 단계와 응용분야에 대해 설명하였고, 석민구(콜롬비아대) 교수는 연산 단위와 저장 단위를 CPU 상에서 직접 연결하는 하드웨어 혁신으로 인공지능 시대가 앞당겨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Takeo KANADE
Carnegie Mellon University
Fun Research of Real World AI and Robotics
장병탁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The New Science of AI
석민구
콜롬비아대학교
Emerging Chip Architecture for Deep Learning
'세션 2. 생명과학'에서는 현택환(서울대), 하택집(존스홉킨스대), 이상엽(카이스트), 김빛내리(서울대) 교수가 각각 의학용 나노신소재,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미생물공학, 유전물질의 기원이자 생명현상의 조절자로서의 RNA 등을 주제로 생물학 최신 연구 동향을 소개하였다.
현택환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What and How 'Nano' Can Do for 'Medicine'!
하택집
하버드대학교 생화학 및 분자약리학과 교수
CRISPR and DNA Repair
이상엽
KAIST 화학생물공학과
Biotechnology and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김빛내리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RNA: From the Origin of Life to the Engineering Genes
'세션 3. 뇌과학'에서는, 심리학자이자 뇌과학자인 천명우(예일대), 이대열(존스홉킨스대) 교수가 각각 행복과 성공을 위한 뇌과학적 방법, 의사결정 메카니즘에 대한 최신 연구결과를 소개하였다. 이진형 (스탠퍼드대) 교수는 뇌를 하나의 회로로 바라보는 접근 방식이 뇌기능과 뇌질환 연구의 시작점이 될 수 있음을 피력하였으며, 정광훈(MIT) 교수는 뇌를 관찰하는 방법으로서 뇌를 투명하게 만드는 첨단기술에 대해 설명하였다.
천명우
예일대학교
The Psychological and Neuroscience of Peak Performance
이대열
존스홉킨스대학교
Brain and Decision Making
이진형
스탠포드대학교
Precision Medicine for Neurological Disease
정광훈
MIT
Holistic Imaging and Phenotyping the Brain
컨퍼런스의 마지막을 장식한 '세션 4. 양자테크놀로지"에는 박홍근(하버드대), 김필립(하버드대), 박지웅(시카고대) 교수가 참여하여, 양자물리학의 기초지식뿐만 아니라, 양자 물질이 기존 반도체의 한계를 극복하는 신소재로서 어떤 의미가 있는지 설명하였다.
박홍근
하버드대학교
Hitchhiker's Guide to Quantum Science and Technology
김필립
Topological Quantum Materials for Quantum Devices
박지웅
시카고대학교
Atomic Fabric for Future Circuits
연사 및 발표 주제
강연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