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회 최종현학술원 과학혁신 컨퍼런스
The Realistic Future of Human Life

2019.07.31 09:30 ~ 08.01 17:50

최종현학술원은 2019년 7월 31일- 8월 1일 양일간 'The Realistic Future of Human Life'라는 주제로 첫 번째 과학혁신 컨퍼런스를 개최하였다. 한국, 미국, 일본을 대표하는 16명의 과학자들이 나노신소재, 인공지능, 생명공학, 뇌과학, 양자테크놀로지 등 첨단과학 핵심분야에 대한 심도있는 강연과 토론을 펼쳤다. 궂은 날씨에도 불구하고 천 여명에 가까운 청중이 참석하여 열띤 지식나눔의 현장에 함께하였다.

Paul ALIVISATOS, Stephen BOYD, Takeo KANADE, 장병탁, 석민구, 현택환, 하택집, 이상엽, 김빛내리, 천명우, 이대열, 이진형, 정광훈, 박홍근, 김필립, 박지웅

세션 및 연사 정보

  • 기조세션에는 Paul ALIVISATOS UC버클리대 교육부총장과 Stephen BOYD 스탠포드대 전기공학과장이 연사로 참여하여, 각각 나노입자 신소재와 딥러닝 최적화 기법이 우리 생활 곳곳에 어떻게 응용될 수 있는지 조망하는 시간을 가졌다.

    • Paul ALIVISATOS, UC Berkeley

      Imaging of Nanocrystals and Nanocrystal-DNA Assemblies in the Graphene Liquid Cell

      동영상보기

    • Stephen BOYD, Stanford University

      Embedded Optimization for Real-Time Decision Making

      동영상보기

  • '세션 1. 인공지능'은 자율주행 분야 개척자 세대를 대표하는 Takeo KANADE (카네기멜론대) 교수의 자율주행자동차 발전 과정에 대한 열정적인 강연으로 시작하였다. 이어, 장병탁(서울대) 교수가 1세대부터 3세대에 이르는 인공지능 각 단계와 응용분야에 대해 설명하였고, 석민구(콜롬비아대) 교수는 연산 단위와 저장 단위를 CPU 상에서 직접 연결하는 하드웨어 혁신으로 인공지능 시대가 앞당겨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Takeo KANADE, Carnegie Mellon University

      Fun Research of Real World AI and Robotics

      동영상보기

    • 장병탁,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The New Science of AI

      동영상보기

    • 석민구, 콜롬비아대학교

      Emerging Chip Architecture for Deep Learning

      동영상보기

  • '세션 2. 생명과학'에서는 현택환(서울대), 하택집(존스홉킨스대), 이상엽(카이스트), 김빛내리(서울대) 교수가 각각 의학용 나노신소재,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미생물공학, 유전물질의 기원이자 생명현상의 조절자로서의 RNA 등을 주제로 생물학 최신 연구 동향을 소개하였다.

    • 현택환,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What and How 'Nano' Can Do for 'Medicine'!

      동영상보기

    • 하택집, 하버드대학교 생화학 및 분자약리학과 교수

      CRISPR and DNA Repair

      동영상보기

    • 이상엽, KAIST 화학생물공학과

      Biotechnology and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동영상보기

    • 김빛내리,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RNA: From the Origin of Life to the Engineering Genes

  • '세션 3. 뇌과학'에서는, 심리학자이자 뇌과학자인 천명우(예일대), 이대열(존스홉킨스대) 교수가 각각 행복과 성공을 위한 뇌과학적 방법, 의사결정 메카니즘에 대한 최신 연구결과를 소개하였다. 이진형 (스탠퍼드대) 교수는 뇌를 하나의 회로로 바라보는 접근 방식이 뇌기능과 뇌질환 연구의 시작점이 될 수 있음을 피력하였으며, 정광훈(MIT) 교수는 뇌를 관찰하는 방법으로서 뇌를 투명하게 만드는 첨단기술에 대해 설명하였다.

    • 천명우, 예일대학교

      The Psychological and Neuroscience of Peak Performance

      동영상보기

    • 이대열, 존스홉킨스대학교

      Brain and Decision Making

      동영상보기

    • 이진형, 스탠포드대학교

      Precision Medicine for Neurological Disease

      동영상보기

    • 정광훈, MIT

      Holistic Imaging and Phenotyping the Brain

  • 컨퍼런스의 마지막을 장식한 '세션 4. 양자테크놀로지"에는 박홍근(하버드대), 김필립(하버드대), 박지웅(시카고대) 교수가 참여하여, 양자물리학의 기초지식뿐만 아니라, 양자 물질이 기존 반도체의 한계를 극복하는 신소재로서 어떤 의미가 있는지 설명하였다.

    • 박홍근, 하버드대학교

      Hitchhiker's Guide to Quantum Science and Technology

      동영상보기

    • 김필립, 하버드대학교

      Topological Quantum Materials for Quantum Devices

      동영상보기

    • 박지웅, 시카고대학교

      Atomic Fabric for Future Circuits

      동영상보기

LIST